- 부산 시민단체, 에어부산 임원진 전원 사퇴 촉구… “부산 주체 항공사 설립 불가피
부산 시민이 키워온 거점항공사인 에어부산이 대한항공의 영향력 아래 놓이면서 지역 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대한항공 출신 인사들이 에어부산의 주요 임원으로 선임된 데 대해 부산 시민단체들은 강한 반발을 표하며 “부산 패싱”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가덕도허브공항 시민추진단을 비롯한 시민단체들은 20일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에어부산의 독립적 운영 보장을 위한 강력한 대응을 부산시에 촉구했다. 이지후 시민공감 이사장은 “에어부산의 주요 임원진이 대한항공 출신으로 채워진 것은 통합 LCC를 인천 중심으로 운영하려는 의도로 보인다”며 “부산시는 주주로서 확고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시는 에어부산 지분 16.15%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이번 인사 과정에서 철저히 배제됐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시민단체들은 "부산의 입장이 무시된 이번 결정은 향후 에어부산의 존속 여부와 지역 항공산업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박형준 부산시장은 “통합 LCC 본사를 부산으로 유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대한항공 측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시민사회는 이를 현실성이 부족한 대책으로 보고 있다. 이지후 이사장은 “통합 LCC 본사가 부산에 유치되기 위해서는 대한항공의 지분보다 부산의 지분이 훨씬 높아야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에 대해 시민단체들은 에어부산의 분리매각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만약 분리매각이 불가능할 경우, 부산이 주도하는 새로운 항공사 설립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최근 열린 에어부산 임시 주주총회에서는 대한항공 출신의 정병섭 전 상무가 신임 대표로 선임되며, 부산 지역 사회의 반발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市민들은 “에어부산의 독립성을 지키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시급하다”며 부산시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